1. 리튬 배터리 기내 반입 규제: 최신 법규와 안전 주의사항(2025년 ver.)
리튬 이온 배터리는 전자 담배, 스마트폰, 보조 배터리(power bank) 등 대부분 개인 전자기기에 사용됩니다.
편리하고 효율적이기 때문에 다방면에 많이 사용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
하지만 동시에 발열, 단락, 열폭주(thermal runaway) 등의 위험성 또한 있습니다.
2025년 1월 부산 김해공항에서는 Air Busan BX391편이 보조 배터리 화재로 파손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탑승객 모두 무사히 탈출했지만, 기체는 전소되었으며 책임 소재와 규제 강화 논의가 촉발되었습니다.
2. 한국 2025 새 규정 개요 (3월 1일 시행)
1) 필수 변화 요약
- 모든 한국 항공사 항공편에서 적용
- 보조배터리 및 전자담배는 반드시 승객 본인이 휴대
- 오버헤드 빈(머리 위 짐칸)에 보관 금지
- 기내 충전 행위 전면 금지
- 좌석 USB나 보조배터리를 통한 충전 모두 불허
- 배터리 수량 및 용량 제한
- 최대 5개, 총량 100Wh 이하 허용
- 160Wh 초과 배터리는 비허용
- 보호 조치
- 투명 플라스틱 백, 보호용 케이스, 절연테이프 등 단락 예방 수단 제공
- 일부 항공사는 기내 단락 예방용 봉투도 지원
3. 국제 기준과의 비교
대한민국 (2025) | 본인 휴대 + 오버헤드 금지 / 기내 충전 금지 / 100Wh 이하 최대 5개 / 보호 조치 필수 |
미국 FAA | Checked prohibited / Carry-on 만 허용 / 160Wh 초과는 운송 승인 필요 / 충전 가능하나 감독 필요 |
싱가포르, 태국, 에바항공 등 아시아 | 기내 충전 및 사용 금지 / 보관은 Cabin only / 오버헤드 수납 제한 |
IATA 기준 | 수하물 불허, carry-on 규칙 준수 / 용량 제한 및 표시 규정 포함 |
4. 소비자를 위한 실용 가이드
✅ 출국 전 체크리스트
- 기기 별 배터리 용량(Wh) 확인 (mAh → Wh 변환 필요)
- 최대 5개 이하, 모든 배터리를 몸에 지참
- 절연테이프 부착 또는 투명 백 사용 필수
- 충전기 사용 자제, 기내 충전 금지
✅ 기내에서 유의사항
- 배터리 사용 중 과열 징후(발열, 부풀기 등)가 있다면 즉시 승무원에게 알려야 합니다.
- 절대 충전 포트 불특정 사용 자제, 승무원의 지시가 있을 경우 즉시 따르셔야 합니다.
5. 법적 책임과 사고 대응 체계
- 항공안전법에 따라 안전 규정 위반 시 행정·민사·형사 책임 가능성 존재
- 사고 발생 시 항공사와 승객 모두에게 책임 분배 가능,
예컨대 배터리를 대량 소지하고 가연성 위치에 보관한 경우 과실 책임 인정 가능 - 항공사는 예방을 위한 안내 의무가 있으며, 이를 위반한 경우 소비자 피해 보상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6. 시사점 및 정책 변화 방향
- 한국 정부는 이번 규제 강화가 단순 예방 차원을 넘어 국제 기준과의 정합성 및 소비자 인식 전환의 계기로 보고 있습니다.
- 앞으로는 5년 이내 정밀 플라스틱 단말 재사용 허용 여부,
배터리 안전 인증 제도, 스마트 검역 시스템 도입 등이 도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또한 기내 화재 사고 관련 소송 사례, 보험 보상 체계,
예방교육 강화 등의 항공법 콘텐츠가 향후 트렌드가 될 수 있습니다.
7. 불편함보다는 안전이 우선!
리튬 배터리는 휴대성을 높이는 혁신이지만,
비행기라는 밀폐 공간에서는 작동 이상 시 극히 위험한 물질로 변질할 수 있습니다.
2025년 한국 항공당국의 규제는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조치입니다.
승객께서는 사전 정보 확인, 비행 규정 준수, 안전 보관 의무를 철저히 지키셔야
본인과 타인을 보호하는 스마트한 승객이 될 수 있습니다.
안전하고 책임 있는 여행은 당신의 작은 습관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국가별, 항공사별 규제를 반드시 잘 확인하셔서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 되시기 바랍니다.
'항공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저 포인터 등으로 비행기 조종 방해 시 처벌 (3) | 2025.08.10 |
---|---|
비행 중 응급환자가 발생한다면? 항공사의 책임과 법적 상식 (2) | 2025.08.08 |
반려동물 항공 운송 규정 및 법적 책임(2025년 기준) (3) | 2025.08.07 |
제주항공 737 사고와 항공사의 쟁점 (1) | 2025.08.07 |
항공기 기내 촬영과 SNS 게시물의 법적 책임 쟁점 (5) | 2025.08.06 |
노플라이리스트(No‑Fly List)와 항공기 탑승 제한의 법적 기준 (4) | 2025.08.06 |
항공 보안검색 중 승객 인권 침해와 법적 분쟁 사례 분석 (2) | 2025.08.06 |
항공권 환불·변경 수수료 정책과 약관규제법 위반 가능성(2025 ver.) (3) | 2025.08.05 |